분류 전체보기485 산사의 하루_매월당의 지혜를 찾아서 2025. 8. 31. 천년의 길 _ 매월당의 지혜를 찾아서 2025. 8. 31. 산사의 하루_매월당의 지혜를 찾아서 2025. 8. 31. 천년의 향기_기후위기시대 국가유산보존과 활용 봄봄콘텐츠 대표 김자영_관광학 박사 2025. 8. 31. [산사음악회] 미륵괘불 국보지정기념 - 9/20(토) 저녁6시 제13회무량사 미륵괘불 국보지정기념산사음악회2025년 9월 20일 토요일 저녁6시무량사 극락전 앞마당 특설무대사회 김병찬_아나운서 출연진 가수 박상민가수 은가은가수 박성현가수 박현호국악인 신이나부여군 충남국악단 2025. 8. 25. [생전예수재] 회향 법회 8/23(토) 윤6월 생전예수재를 불자님들의간절한 기도 원력으로 원만히 회향 하였습니다.불교에서 회향은 수행이나 공덕을 자신뿐 아니라 타인과 모든 중생에게 나누겠다는 마음의 실천입니다.기도공덕으로 우리 모두가 부처님의 가피와 지혜로 업장을 소멸하고 만사여의원만성취하시길 발원합니다. 2025. 8. 25. [인문학강의] 천년의 향기_기후위기시대 국가유산보존과 활용 천년의 향기_인문학강의"국가유산도 지키고 나도 지키고" 기후위기시대 국가유산보존과 활용을 위한 무량사의 역할과 가치봄봄콘텐츠 김자영 대표_관광학 박사2025년 8월 29일 (금) 오전 10시30분 무량사 예약문의 : 041-836-5066 2025. 8. 21. [전통산사] 천년 산사문화체험-튀르키예&독일 태권도선수단 부여 무량사(주지 정덕 스님)가 8월 4~5일 경내와 인근 문화유산에서 전통산사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일환으로 ‘천년산사문화체험’을 진행했다.행사에는 튀르키예와 독일에서 방한한 태권도 선수단 20여 명이 참가해 한국불교의 전통문화와 산사의 일상을 체험했다. 참가자들은 정덕 스님의 환영 인사와 사찰예절 교육을 시작으로 범종 타종, 예불, 발우공양 등 수행자들의 일상을 체험했다. 또 무량사 대웅보전과 극락전, 삼층석탑 등 주요 전각과 유물을 둘러보며 천년고찰의 역사와 불교 건축양식, 가람 배치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출처 : 법보신문(https://www.beopbo.com)부여 무량사, 해외 태권도 선수단에 불교문화 전하다 2025. 8. 13. 무량사 국가문화유산_국보/보물/문화유산 국보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扶餘 無量寺 彌勒佛 掛佛圖)Hanging Painting of Muryangsa Temple (Maitreya Buddha)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出土 金銅佛像 一括) Gilt-bronze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uryangsa Temple, Buyeo 보물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扶餘 無量寺 塑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Clay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Muryangsa Temple, Buyeo 보물김시습 초상 (金時習 肖像)Portrait of Kim Si-seup 보물부여 무량사 삼전패 (扶餘 無量.. 2025. 8. 13. 이전 1 2 3 4 ··· 54 다음